층층이꽃속.. 궁금합니다.
종명:
작성일 25-08-14 08:53
조회 200
댓글 7
본문
Canon EOS 700D, F5.0, ISO-100, Auto WB, Auto Exposure, 1/320s, 0.00EV, Spot, 39mm, Flash not fired, 667 x 667, 2025:07:16 13:04:26
Canon EOS 700D, F5.6, ISO-800, Auto WB, Auto Exposure, 1/100s, 0.00EV, Spot, 55mm, Flash not fired, 540 x 360, 2026:09:09 04:43:45
층층이꽃속에 대해 속시원히 답 주실 선생님이 계실까요. 둘 다 제주산입니다.
첫번째 꽃색이 진한 것은 전체에 털이 거칠고 많고 다른 층층이꽃속에 비해 꽃이 큰 편입니다.
두번째 연한 색은 꽃받침의 털이 긴 편이고 뒷잎에 선점 있는 것으로 보아
두메층층이로 추정하고 있는데요.
첫번째와 두번째 이름이 어떻게 될까요.
댓글목록 7
과거에 한참을 공부하고 도 하나도 결론을 못 낸
탑꽃속 지금 다시 찾아 보아도 어렵습니다.
탑꽃속 지금 다시 찾아 보아도 어렵습니다.
첫번째를 두메층층이 로 추정합니다.
- 전체적으로 털이 많고 크다
-줄기에 짧은 털이 있다
-잎 뒤에 선점이 있다고 표현 되는 "두메층층이(짙은 선점)" "탑꽃(옅은 선점)"
-잎 기부 표현에서 "약간 심형" "넓은 예저" 등의 표현이 두메층층이 만 보입니다.
.
- 전체적으로 털이 많고 크다
-줄기에 짧은 털이 있다
-잎 뒤에 선점이 있다고 표현 되는 "두메층층이(짙은 선점)" "탑꽃(옅은 선점)"
-잎 기부 표현에서 "약간 심형" "넓은 예저" 등의 표현이 두메층층이 만 보입니다.
.
오전 일찍 대둔산 일대로 탐사 가려고 미루어 두었는데, 커피 먹으며 여기에서 이러고 있네요^^
2번째는 자료가 부족해서 그냥 찍기 입니다.
탑꽃 으로 보입니다.
-화서 줄기 끝(다른 탑꽃 속은 이런 표현이 없슴)
-꽃받침 털=> 퍼진 털... 짧은 털
-잎 긴난형 쇄기형
탑꽃 속이 있는 곳을 가는데, 부디 이름표를 달기를 저 한테 바라면서^^
2번째는 자료가 부족해서 그냥 찍기 입니다.
탑꽃 으로 보입니다.
-화서 줄기 끝(다른 탑꽃 속은 이런 표현이 없슴)
-꽃받침 털=> 퍼진 털... 짧은 털
-잎 긴난형 쇄기형
탑꽃 속이 있는 곳을 가는데, 부디 이름표를 달기를 저 한테 바라면서^^
설용화님,,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다른 분들 의견도 더 들어보고 싶습니다. 예전엔 여러분들께서 답을 주시는것 같던데 요즘은 답주시던 분들께서 활동을 안하시나 보네요.
설용화님.,.궁금한게 하나 있습니다. 국가표준식물목록이나 국가생물자원관에서도 층층이꽃속이라 분류를 하는데 왜 탑꽃속이라 하시는지 다른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다른 분들 의견도 더 들어보고 싶습니다. 예전엔 여러분들께서 답을 주시는것 같던데 요즘은 답주시던 분들께서 활동을 안하시나 보네요.
설용화님.,.궁금한게 하나 있습니다. 국가표준식물목록이나 국가생물자원관에서도 층층이꽃속이라 분류를 하는데 왜 탑꽃속이라 하시는지 다른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확인 또는 공부하는 사이트가
풀베개 https://wildgreen.co.kr/
여왕벌이 사는집 https://qweenbee.tistory.com/ 입니다. 두 곳 다 탑꽃속 이라 되어 있군요.....
국가생물종시스탬이 과거에는 풀베개와 비슷했는데, 오래전 지금 비슷하게 개편하면서
저는 대체 사이트로 풀베개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풀베개 https://wildgreen.co.kr/
여왕벌이 사는집 https://qweenbee.tistory.com/ 입니다. 두 곳 다 탑꽃속 이라 되어 있군요.....
국가생물종시스탬이 과거에는 풀베개와 비슷했는데, 오래전 지금 비슷하게 개편하면서
저는 대체 사이트로 풀베개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여왕벌님 자료 찾아보니 모두 층층이꽃속으로 바뀌었는데요. 바꾸지못한 10여년전의 자료 한두개만 탑꽃속으로 남아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풀베개라는 곳의 탑꽃속이라 되어 있는 것 역시 층층이꽃속으로 바뀌어야 맞겠지요. 그 사이트에서는 체계가 바뀐것을 인지하지 못하였거나 예전 그대로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겟지요. 우리가 사용하는 식물명과 식물의 분류체계는 개인의 카페가 우선이 아닌 식물을 관장하는 기관을 따르는게 맞다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풀베개라는 곳의 탑꽃속이라 되어 있는 것 역시 층층이꽃속으로 바뀌어야 맞겠지요. 그 사이트에서는 체계가 바뀐것을 인지하지 못하였거나 예전 그대로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겟지요. 우리가 사용하는 식물명과 식물의 분류체계는 개인의 카페가 우선이 아닌 식물을 관장하는 기관을 따르는게 맞다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예전에 활동하시던 분들... 아마 대한민국 야생화 고수는 야사모 출신이 가장 많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세월이 많이 지나, 건강 등 많은 이유로 활동 하지 않으시고요
이십 여 년 전 맹렬히 활동하시던 분들도 간혹 들어 오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세월이 많이 지나, 건강 등 많은 이유로 활동 하지 않으시고요
이십 여 년 전 맹렬히 활동하시던 분들도 간혹 들어 오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