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밥나무
작성일 25-04-14 18:46
조회 33
댓글 0
본문
Canon EOS 7D Mark II, F5.6, ISO-640, Auto WB, Auto Exposure, 1/320s, 0.00EV, Multi-segment, 100mm, Flash not fired, 1024 x 683, 2025:04:13 14:11:21
Canon EOS 7D Mark II, F5.6, ISO-640, Auto WB, Auto Exposure, 1/400s, 0.00EV, Multi-segment, 100mm, Flash not fired, 1024 x 683, 2025:04:13 14:10:21
Canon EOS 7D Mark II, F5.6, ISO-640, Auto WB, Auto Exposure, 1/400s, 0.00EV, Multi-segment, 100mm, Flash not fired, 1024 x 683, 2025:04:13 14:10:42
Canon EOS 7D Mark II, F5.6, ISO-640, Auto WB, Auto Exposure, 1/250s, 0.00EV, Multi-segment, 100mm, Flash not fired, 1024 x 683, 2025:04:13 14:30:59
Canon EOS 7D Mark II, F5.6, ISO-640, Auto WB, Auto Exposure, 1/400s, 0.00EV, Multi-segment, 100mm, Flash not fired, 1024 x 683, 2025:04:13 14:10:58
보리밥나무 [ Longleaf Elaeagnus 롱리프 엘레아그누스 ]
학명 : Elaeagnus macrophylla Thunb.(엘레아그누스 마크로필라 툰브.)
꽃은 10∼11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백색 또는 연한 황백색의 양성화가 1∼3개씩 모여 달린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이듬해 3∼4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먹을 수 있으며 표면에 은백색 인모가 밀생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유사한 나무로 보리수나무와 보리장나무가 있다.
보리수나무는 중부 이남의 산지에 널리 분포하며, 보리밥나무와는 달리 덩굴지지 않는다.
보리장나무는 보리밥나무와 같이 해안지역에 분포하지만 보리밥나무에 비해 잎이 좁고
뒷면에 적갈색 인모가 밀생하여 갈색 빛을 띠는 점이 다르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