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갯질경

작성일 12-08-17 21:03 | 1,258 | 2 |추천수: 0

본문

Canon EOS 20D, F11.0, ISO-100, Manual WB, Auto Exposure, 1/80s, 0.00EV, 100mm, Flash not fired, 720 x 480, 2012:08:17 13:20:57

Canon EOS 20D, F11.0, ISO-100, Manual WB, Auto Exposure, 1/100s, 0.00EV, 38mm, Flash not fired, 720 x 480, 2012:08:17 13:27:18

Canon EOS 20D, F11.0, ISO-100, Manual WB, Auto Exposure, 1/100s, 0.00EV, 100mm, Flash not fired, 720 x 480, 2012:08:17 13:19:41

Canon EOS 20D, F11.0, ISO-100, Manual WB, Auto Exposure, 1/125s, 0.00EV, 50mm, Flash not fired, 720 x 480, 2012:08:17 13:25:00

Canon EOS 20D, F2.8, ISO-100, Manual WB, Auto Exposure, 1/1000s, 0.00EV, 100mm, Flash not fired, 720 x 480, 2012:08:17 13:33:50


이 식물을 볼 때 마다 느껴져 왔던 생각 오늘에서야 그 정답을 찾아낸것 같습니다.
요점은 "갯질경" 이다.
"갯질경이" 로 부르면 안된다는 결론 입니다.
갯질경, 갯질경이, 개질경이 등 3종류는 바닷가에서 흔하게 접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문제는 "갯질경이" 란 이름을 가진 질경이과의 또 다른 식물이 있기 때문입니다.
글자 한자 차이 때문에 헷갈리게 하는것은 "갯질경"은 갯질경이과 식물이며,
"갯질경이" 는 질경이과 식물이다는것.

문제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의 "갯질경이" 의 일본명이 "갯질경"의 일본명과 같다는 겁니다.
식물을 검색 할 때 학명이나 일본명으로 검색하는 경우 두 식물이 같은 이미지로 떠서 혼란이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는 이유라는 것이기도 하지요.


주의 하실것은 글자 하나 차이인데 갯질경과 갯질경이는 서로 다릅니다.
갯질경, 개질경이, 갯질경이는 각각 다르다는것.



갯질경
학명: Limonium tetragonum (Thunb.) A.A. Bullock

갯질경이과 갯질경이속의 2년생초본.


개질경이
학명: Plantago camtschatica Cham. ex Link

쌍떡잎식물 질경이목 질경이과의 여러해살이풀.


갯질경이
학명: Plantago major var. japonica for. yezomaritima Ohwi

쌍떡잎식물 질경이목 질경이과의 여러해살이풀.

댓글목록 2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186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