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홍도원추리

작성일 16-05-30 00:46 | 1,236 | 6 |추천수: 3

본문

NIKON D200, F7.1, ISO-1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160s, -2.67EV, Spot, 60mm, 1/1, Flash not fired, 1000 x 669, 2016:05:28 11:49:04

NIKON D200, F7.1, ISO-1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80s, -2.67EV, Spot, 60mm, 1/1, Flash not fired, 1000 x 669, 2016:05:28 11:48:27

NIKON D200, F4.5, ISO-1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100s, -2.67EV, Spot, 60mm, 1/1, Flash not fired, 1000 x 669, 2016:05:28 11:52:29

F0.0, /s, 0.00EV, Flash not fired, 880 x 4700

댓글목록 6

쥐뿔도 모르는 제가
원추리 속에만 들어 오면, 학회지 논문도 믿음이 별로 안 옵니다.

원추리 속은 약30종에서 2700여종의 원예종을 만들 수 있는 근본적인 이유는 종간 유전적 격리기구가 발달하지 않아서 종간 교잡이 자유롭게 이루어 진다 합니다.

그 만큼 변이종도 많고, 중간형태도 많은 것 같습니다.

2012년 원추리속 논문에서 제가 관심 있게 재미있게 본 글은
##. 각시원추리도 큰원추리와 같이 화경 끝에 구형으로 들어 있다. (포안에 꽃이 들어 있는)
각시원추리는 북쪽(백두산)에 있다고 보고 있고, 지리산 등에서 발견 되는 꽃을 큰원추리로 보고 있습니다.

##. 골잎원추리의 구분점 이었던, 꽃차레의 “산방화서”를 총상화서 로 이야기 하고 있고, 잎의 넓이도 더 넓게 말하고 있습니다. 느닷없이 노랑원추리, 애기원추리와 같이 야간 개화형이라 말하는데….저는 하고 싶은 말이 많습니다.^^

##. 제법 알려진 데로 우리가 흔히 보는 원추리를 “백운산원추리”로 보고 잇습니다.

야간에 개화한다는 노랑, 애기, 골잎
포속에 꽃이 모여 피는 큰, 각시
꽃색이 다르고 키우는 왕, 홑왕 을 제외하면….

백운산, 홍도, 태안원추리 중에서 찾았습니다.
태안은 제가 써 논 자료가 많습니다. 대략 잎폭이 좁고 꽃도 작습니다.
백운산 역시 잎 폭이 작고, 화경이 깊게 분지 한다 합니다.
홍도는 2-4cm 분지, 백운산 5cm분지

홍도원추리 라는 이름을 위 검색표로 쉽게 찾았습니다.^^
위의 사진 중 잎의 모습은 거의 4센티가 넘었습니다.

원추리 공부 만 하루 종일 했기에
아까워서 씁니다.^^

분류학회 자료....정회원 방에 올렸습니다.
http://www.wildplant.kr/comzy/bbs/board.php?bo_table=request&wr_id=1723&page=&sca=&sfl=&stx=&sst=&sod=&spt=&page=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128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