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자주꽃방망이
작성일 07-09-07 09:46
조회 1,110
댓글 10
추천수: 0
본문
자주꽃방망이와 구별됩니다..
주로 북부지방에서나 자생한다는 녀석을 자주꽃방망이와 같은날 만났습니다..
딱~한촉 뿐이었지만 제게 더이상의 행운은 없었습니다..아~행복해~~!!ㅎㅎ
주로 북부지방에서나 자생한다는 녀석을 자주꽃방망이와 같은날 만났습니다..
딱~한촉 뿐이었지만 제게 더이상의 행운은 없었습니다..아~행복해~~!!ㅎㅎ
댓글목록 10
샘나네요..ㅎ.ㅎ 만나면 아는 체 해야지..여기서는 보기어려운디..ㅎ.ㅎ
흰자주꽃방망이, 참 어색하지요?
도감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변종으로 등록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도감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변종으로 등록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런가요...제가 알고 있는 웹도감에는 학명과 기재문 모두 존재합니다만?
기재문 어디에도 변종이란 말은 없군요...
흰자주꽃 방망이: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for. alba Nak.
형 태: 다년생 초본 분 포: 북부지방
용 도: 환 경: 풀밭
크 기: 높이 40~100cm 정도 원 산: 한국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엽병이 있으며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고 넓은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이 5-10cm, 나비 1-3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근경은 짧고 옆으로 자라며 퍼지거나 다소 밑으로 굽은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으로서 원줄기끝에 10개정도가 두상으로 모여 위를 향해 달리지만
윗부분의 엽액에도 달리며 소화경이 없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상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톱니가 있고
화관은 길이 2-3c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진다
기재문 어디에도 변종이란 말은 없군요...
흰자주꽃 방망이: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for. alba Nak.
형 태: 다년생 초본 분 포: 북부지방
용 도: 환 경: 풀밭
크 기: 높이 40~100cm 정도 원 산: 한국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엽병이 있으며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고 넓은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이 5-10cm, 나비 1-3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근경은 짧고 옆으로 자라며 퍼지거나 다소 밑으로 굽은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으로서 원줄기끝에 10개정도가 두상으로 모여 위를 향해 달리지만
윗부분의 엽액에도 달리며 소화경이 없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상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톱니가 있고
화관은 길이 2-3c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진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도 흰자주꽃방망이 나와 있습니다^^*
방망이들을 섭렵하셨나 봅니다^^
ㅋㅋㅋ~참으로 별난 우연이었습니다,^^*
자주꽃방망이(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의 변이된 품종(for. alba Nak.)이 되나요.
변이된 품종(for. alba Nak.)란 뜻인가요...ㅎㅎ
그저 학명인줄로만..ㅋ
감사드립니다~변이된 품종이래도 학명이 있으니 따로 정리해줘야겠지요?^^*
그저 학명인줄로만..ㅋ
감사드립니다~변이된 품종이래도 학명이 있으니 따로 정리해줘야겠지요?^^*
대단 하심다
머리를 조아림다**
머리를 조아림다**
뭔지 모르겠지만
어렵군요..... ^^
어렵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