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논냉이

작성일 14-06-23 18:55 | 641 | 12 |추천수: 4

본문

Canon EOS 5D, F5.6, ISO-200, Auto WB, Manual Exposure, 1/20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4:06:20 16:11:39

Canon EOS 5D, F6.3, ISO-800, Auto WB, Manual Exposure, 1/100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4:06:20 16:38:48

Canon EOS 5D, F9.0, ISO-200, Auto WB, Manual Exposure, 1/6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4:06:20 16:14:37

Canon EOS 5D, F9.0, ISO-200, Auto WB, Manual Exposure, 1/5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4:06:20 16:14:19

Canon EOS 5D, F9.0, ISO-800, Auto WB, Manual Exposure, 1/25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4:06:20 16:30:02

여직 울 아파트 화단 축축한곳에 사는 개체들을 논냉이라고 알고 있다가 이번에 진짜 논냉이라는 이름의 주인을 찼은것 같습니다.
역시 고수님들의 이의의 말씀과 의견을 받아 진지한 토론을 했으면 합니다.
화경부분 이외에는 누워자라고 잎겨드랑이에서 뿌리를 내리며 줄기 가장 아래부분의 잎은 우상복엽이고 정소엽이 가장크며 원형이고
아심장저였고  줄기 중간이상의 잎은  정소엽뿐이었습니다.

댓글목록 12

구분하는게 참 어렵군요
꽃모양이 겨자과가 틀림없다는 사실이외에는
박다리님께서 고생하시어 찾아오신 것을 답변을 드릴 수가 없네요~^
줄기에서 하얀 뿌리가 돋아나는게 참 신기하네요. ^^
논에서 주로 서식하나요?
일단, 관련 식물용어 공부를 하고서 공부 해 보겠습니다.
 - 복엽(겹잎) : 엽신(葉身 ; 잎몸)이 2개 이상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잎의 총칭
 - 우상복엽 (羽狀複葉) : 잎자루에 이어서 1개의 중축(中軸)이 벋어 나온 그 줄기 좌우에 작은잎이 우상(羽狀 ; 깃꼴형)으로 늘어서는 잎모양
 - 정소엽 (頂小葉) : 우상복엽(깃꼴겹잎)의 잎줄기 끝에 달린 소엽(작은잎)
 - 아심장저 : 잎자루와 잎의 경계부분이 심장모양
답글
제가 풀어쓰지않고 도감에 있는 용어를 그대로 올렸더니.......... 죄송합니다.
다 맞는데 두가지는 부언을 해야겠습니다.
정소엽 : 홀수깃꼴겹잎에서 가장 끝부분에 한장만 있는 잎.
아심장저 : 잎의 밑부분이 심장모양(하트 모양)보다 더 얕은 모양.  (형태를 설명할때 앞에 "아"자가 들어가면 그 용어의 원형태보다
                더 얕은 모양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ㅎ~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38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