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목련
작성일 03-03-26 10:11
조회 533
댓글 17
본문
아침에 역광으로 찍기 위해
일찍 출근해서 찍은 사진입니다...
역광으로 찍어야만
뽀샤시한 털이 보이므로 역광으로 잡았습니다..
댓글목록 17
함박꽃나무를 지방에 따라서는 산목련이라 부르기는 하지만, 목련(산목련)하고는 다릅니다....목련(산목련)은 잎니 나기전에 꽃이 피고 함박꽃나무는 잎이 나고 난 다음 꽃이 핍니다...
목련(산목련)하고 백목련도 다른나무입니다...백목련은 중국에서 도입한 수종이며 흰꽃의 기부에 보랏빛(붉은 빛)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함박꽃나무를 산목련이라 부르기는 하지만, 이 녀석은 그냥 백목련이라 했으면 좋겠네요. 산목련은 잎이 나온다음 꽃이 피니까...글구, 함박꽃나무는 북한의 국화~ ^^
벌과 나비를 기다리겠죠..
백목련의 우아한 자태...
지금 저의 화두는 목련은 왜 하늘을 보고 있을까.?...
지금 저의 화두는 목련은 왜 하늘을 보고 있을까.?...
순백과 순수 청순함 그자체입니다.
웨딩드레스....기막힌 색입니다.
우왓, 빛까지 생각하시는 섬세함. 정말 참한 신부같네요.
꽃잎에서느껴지는분위기가 굉장히 부드러워보입니다. 꽃잎끝에 자색빛의 빗살이 한껏 분위기를 살려주네요.
증말 뽀샤시한 자태이군요
활짝 핀 넘보담 보기가 더 좋은 거 같네요
좋은 아침 열어주셔서 감사함다
활짝 핀 넘보담 보기가 더 좋은 거 같네요
좋은 아침 열어주셔서 감사함다
오월의 신부...
목련(고부시목련, 산목련) - 제주도에 자생, 꽃잎은 백색이고 기부는 담홍색, 꽃받침은 3장.
백목련 - 중국 원산,꽃은 유백색이고 꽃잎과 꽃받침의 구분이 어려움.
백목련 - 중국 원산,꽃은 유백색이고 꽃잎과 꽃받침의 구분이 어려움.
그럼 지금 우리모두가 본 목련은 우리나라 자생종인가요????
아침의 청명한 기운이 그대로 전해져 오는 느낌입니다.
사진을 보고 있으니 마치 실제 꽃을 보는 듯 기분이 상쾌해지는군요.
사진을 보고 있으니 마치 실제 꽃을 보는 듯 기분이 상쾌해지는군요.
하이얀 촛불.
순백의
고븐
자태~~
고븐
자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