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란초가 아니고 콩짜개랍니다.(제주도 삼성혈)
작성일 03-04-18 11:34
조회 381
댓글 13
본문
제주도 삼성혈에 갔더니 아름드리 나무에 "콩짜개"가 많더군요.
(이거 찍느라고 고개 꺽어지는 줄 알았습니다.)
댓글목록 13
사진도 멋있네요, 또 다른 시각이 주는 즐거움이 있네요.
나무밑에서 위를 보고 찍으셨나봐요! ^^ 계곡의 바람~
예 맞습니다. 공짜개는 절대로 잊지 않을 것 같아요.
제주도에는 콩짜개가 많더군요. 저도 화분에 감아 키우고 있는데 포자낭이 많이 생기질 않더군요
**^^** 어렸을때 공부하다 보면 그냥 배운건 잊어버려도 한두번 틀려서 매맞고 배운건 나이를 먹어도 잊어버리지 않습니다...노경호님도 절대 잊어버리지 않으실 지식을 얻으셨네요**^^**
(콩을 짜개 놓은 것 같아서 그렇게 이름이 생겼나??).. 멀뚱..
나이테님 양치류들은 다 그래유...ㅎㅎㅎ.
콩짜개덩굴입니다...
* 자생지: 바위 또는 늙은 나무의 겉면에 붙어서 자라는 양치식물로 상록의 여러해살이 풀이구여^-^
* 번식을 위한 포자엽(길이 2-4cm, 폭 3-4mm의 주걱모양 으로..
포자낭 군이 달립니다)과 영양엽이 드문드문.. 영양엽 (길이 1-2cm, 폭 6-15mm인 육질의 타원형)은
가는 뿌리줄기를 따라서 어긋나게 달립니다.
* 자생지: 바위 또는 늙은 나무의 겉면에 붙어서 자라는 양치식물로 상록의 여러해살이 풀이구여^-^
* 번식을 위한 포자엽(길이 2-4cm, 폭 3-4mm의 주걱모양 으로..
포자낭 군이 달립니다)과 영양엽이 드문드문.. 영양엽 (길이 1-2cm, 폭 6-15mm인 육질의 타원형)은
가는 뿌리줄기를 따라서 어긋나게 달립니다.
고란초는 이렇게 생겼더군요. <a href=http://www.wildplant.org/bbs/data/1009373561/9277123.jpg target=_blank>http://www.wildplant.org/bbs/data/1009373561/9277123.jpg</a>
예...그렇습니다.
콩짜개... 기억해둬야지...
근데 고란초 잎 뒤의 점들은 원래 그렇게 생긴 거여요?
아님 곤충들이 알을...
디게 신기하게 생겼던디...
근데 고란초 잎 뒤의 점들은 원래 그렇게 생긴 거여요?
아님 곤충들이 알을...
디게 신기하게 생겼던디...
이게 고란초라구요? 콩짜개 아니구요?
이궁 지송합니다.
뭘 몰라서....콩짜개로 고칠께요...
뭘 몰라서....콩짜개로 고칠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