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조롱
작성일 03-06-27 06:00
조회 424
댓글 6
본문
박주가리과. 뿌리를 약용하고 백하수오라고도 부릅니다.
댓글목록 6
하수오
사실 잘못쓰고 있는 한약중에 하나인데요.
엄밀히 따져서 하수오는 적백이 없는데 우리나라 에서는 박주가리과의 백수오의 뿌리를 백하수오로 잘못쓰고 있는 형편입니다.
하수오는 마디풀과(polygonaceae) 에 속하며 줄기는 夜交藤(밤에 암수의 줄기가 붙는다네요) 뿌리는 何首烏를 약으로 쓰고 있습니다.
그련데 큰조롱이 맞나요 은조롱으로 부르는걸 들었는데 아시는분 계시면 리플 부탁드립니다.
엄밀히 따져서 하수오는 적백이 없는데 우리나라 에서는 박주가리과의 백수오의 뿌리를 백하수오로 잘못쓰고 있는 형편입니다.
하수오는 마디풀과(polygonaceae) 에 속하며 줄기는 夜交藤(밤에 암수의 줄기가 붙는다네요) 뿌리는 何首烏를 약으로 쓰고 있습니다.
그련데 큰조롱이 맞나요 은조롱으로 부르는걸 들었는데 아시는분 계시면 리플 부탁드립니다.
옆의 벌어진 모습이 핀 모양입니다. ^^
노란색감이 든 녹색이라 보심 될 듯 싶습니다.
노란색감이 든 녹색이라 보심 될 듯 싶습니다.
꽃송이 인가요 ?
무슨 색감일까 궁금합니다 ...
나무 같기도 하고 덩굴 같기도 하고 ???
무슨 색감일까 궁금합니다 ...
나무 같기도 하고 덩굴 같기도 하고 ???
박주가리 집안이 득세하는 시절인가 보져? ^^ 울 동네 박주가리도 꽃 폈나 함 봐야지.
큰조롱 또는 은조롱이라고 불리며 황해도나 경상도 지역에서는 새박덩굴이라고 부릅니다.^^
중국 사람들은 하수오를 인삼, 구기자와 함께 3대 명약으로 여긴다는데 신경쇠약, 고혈압이외에도
특히 머리칼을 검어지게하는 약효로 유명하답니다.
중국 사람들은 하수오를 인삼, 구기자와 함께 3대 명약으로 여긴다는데 신경쇠약, 고혈압이외에도
특히 머리칼을 검어지게하는 약효로 유명하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