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에 관한 신간 소개할게요!(관리자님 죄송해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댓글목록
강서구님의 댓글

방금 갤러리에 자생지 앵초를 올렸습니다.
우리집 베란다로 옮길까요?
야사모 회원님들이 자생지에서 본 야생화들을 자택의 베란다로 옮겨도 돨까요?
산과들에서 이쁜 야생화를 보았을 때 사랑하는 님의 머리에 꽃을 꽃아 준다면
이 또한 아름다운 모습이기에 그 동기의 순수성에서 행위를 비난 할수가 없습니다.
위와 같은 사람중에 재롱이님이 소개하는 책자를 구입한다면 그럴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자생지 야생화를 존중하는 야사모 회원이라면 재롱이 님이 소개하는 책에
관심을 두지 말자는 것입니다.
그리고 재롱이님~
님께서 " 이책은 광고라고 하기보다는 정보라는 차원으로..." 라고 하시는데
이책이 판매가 됨으로 가장 이득을 많이 보는 이해 당자사 이기에 정보전달
이라기 보다 광고 라는점 을 분명히 지적합니다.
재롱이님의 댓글

심성구 회원님께서 저희의 의견을 정말 정확히 대변해 주셨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여러 회원분들의 관심과 배려에 어긋남이 없도록 더 나은 지식과 정보전달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배롱나무님의 의견에도 감사드립니다. 그렇습니다. 2001년 발행하여 2002년 재판을 햇었고 그후에 절판이 되었었답니다. 그런데 돌쇠와꽃님이 야생화교실-(저자인 김필봉 님 운영) 수강생들로부터 참고가 될만한 책자를 만들어달라는 요구가 많았답니다. 그래서 수정, 보완하여 새로 발간한 것입니다. 아울러 더 많은 정보와 지식전달을 위해 다음 신간도 기획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배롱나무님의 댓글

도서 자료를 찾아보니 신간은 아니고 이미 2001년도에 발행한 도서(온 가족이 함께 기르는 우리들꽃)를 내용보완 하여 재 출판한 것 같네요.
요즘은 개량종 야생화 등 야생화 판매하는 화원도 많이 늘고 있으니 남채가 아닌 구입하여 길러 보는것도 또 다른 재미가 있을 듯 합니다.
심성구님의 댓글

너무 비약적이고, 또한 각자 생각하고 행동하기 나름인 사안인것을...
이웃나라 일본의경우 수천가지의 야생화 키우기관련 책자(물론 야생에서 채취한 식물 잘 키우기에 대한내용도 무지 많고...)가 수십년 전 부터 발간되고 있는 현실인데....
위 논리를 적용하면 일본땅에는 야생화 한포기도 없겠군요. 하지만 우리보다 더 잘 보존되고 있는것은 왜일까요???
지식 전달을 위하여 고생하신 필자와 출판사측에 감사 드립니다.
우구리님의 댓글

강서구님 및 여러 회원님들의 말씀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야생화는 있는 자리에서 자라져야 합니다...
결코 인위적으로 캐서 온다든쥐..집에서 우째 한다는것은 우리 야사모 취지에 전혀 반대 되는 입장입니다...
작금에 여러 회원님들께서도 지적 하였듯이...자생지가 훼손 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더군다나 자생지는 진짜 신뢰하지 않을 경우는 가르쳐 주지 않습니다...
그런데..집에서 키운다고 한다는 것은…. 말단 촌구석에 있는 무슥한 회원이지만...
감히 상기책자를 여기에 소개 시키지 말것을 재롱이님에게 정중히 권하고 싶습니다...
혹쉬 제 야그가 넘치더라도 할 말은 하고 가야 겠습니다...
글고 여기는 어떤 광고이던쥐 간에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알고 있습니다
재롱이님의 댓글

입금하실 계좌번호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농협 038-12-210838, 우리 534-305790-02-016 김재련으로 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저희가 발간한 예술관련 팜플렛도 무료로 1부 함께 동봉해 드리겠습니다)
저희는 출판사이므로 좀더 정확한 답변을 위해 저자분의 답변을 요구해 놓은 상태이므로 조만간 속시원한 답변을 주실 것입니다.
다만 저자 분의 답 이전에 분명하게 말씀 드릴 수 있는 것은 김필봉 선생님께서도 야생화에 관한 사랑이라면 누구 못지않은 분이라는 사실입니다. 그런 분이 야생화의 생리도 모르고 쓰시지는 않았을 거라는 겁니다.
바우나리님의 댓글

야사모의 정신이 살아있는 말씀에 공감하고, 마음으로는 내심 마음 든든합니다~~
토담님의 댓글

저도 위 책의 내용중 일부에 문제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위 두분 말씀에 공감합니다.
문종호님의 댓글

"길가에 핀 야생화, 우리집 베란다로 옮기는 법"
전체적으로 별로 추천할만한 내용이 아니군요. -_-;;
강서구님의 댓글

저자의 심혈을 기울인 저서의 출판을 축하 드립니다.
그러면서 야생화에 관심이 많은 저에게 평소에 느끼는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 드리니
참고로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저자께서 정성을 드려서 야생화 키우기를 집필하여 주셨지만 그 내용이 결과적으로
자생지 야생화의 무단채취를 부추기는 사태에 도움을 주지나 않을까 우려가 됩니다.
이따끔 야생화 전시회를 보게 되는데 한번은 난전시회에서 개불알난이 전시된것을 보고
화가 난적이 있었습니다.배양을 한것인지 야생에서 채취한 것인지 정확히 알지 못한
성급한 속단은 모순이 겠습니다만
야생화전시회에 전시된 야생화들이 자생지에서 채취 한것인지 (남채라는 용어를 쓰더군요)
배양을해서 뿌리나 씨앗번식 인지 (육종학 용어의 개념을 잘 모릅니다 ) 궁금 했습니다.
야생화는 그자리에 있는것이 가장 아름답다는 평범한 말에 절대 공감하는 저에게
위 책 내용중 "길가에 핀 야생화,우리집 베란다로 옮기는 법" 에서 절대 찬성 할수가 없으며
야사모라는 모임의 취지가 소개하는 저서의 내용과 일치 하는지 이번 기회에 알고자 합니다.
분란을 일으키는 사태가 올까 위 글 쓰기가 참으로 조심 스럽습니다만 지적은 하고싶습니다.
재롱이님의 댓글

여러 회원분들의 지적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이 책은 광고라고 하기보다는 정보라는 차원으로 봐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야생화를 사랑하는 분들의 모임이다보니 도움될만한 소재라 생각하여 소개한 것으로 파악해 주심이 옳을 실 것 같고요.
지적하신 내용의 것은 책자를 보시면 자세히 알겠습니다만 무조건 야생화를 집으로 옮겨서 키우자는 단순한 내용의 것이 아님은 분명히 밝혀둡니다.
좀더 그 내용에 대해 문의하시고 싶으신 분들은 김필봉(돌쇠와 야생화교실) 011-723-9918 02-735-8246으로 연락주시면 정확한 답변을 얻으실 수 있으십니다.
탁재훈님의 댓글

좋은 책자라 하니, 한번 사봐야 할것 같군요!.
입금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