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자유게시판

흰민들레 씨 파종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이환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18건 조회 2,754회 작성일 03-05-14 17:02

본문

바람이 몹시 불어 파종하기가 상당히 어려웠지요 핀셋으로 그놈들을 잡아다가 간신히 파종을 마쳤지요 지난 4월에 여주금사에 가서 한포기 얻어야 열심히 키웠는 데 씨가 잘 맺히지 않았지만 그대도 50개 정도는 잘 맺어져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파종을 했지요 몇 놈이나 나올지 모르지만..... 흰 민들레 보신분 있남여? 그 놈들 올라오면 다시 소식 전하지요

댓글목록

정자목님의 댓글

no_profile 정자목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야사모회원들께 한가지 권하는 책이 있습니다. 이유미 박사가 쓴책으로 한국의 야생화입니다. 야생화의 이름의 유래라든가 쓰임새, 키우는 방법등 비슷한 것 구분하는 방법등 볼거리가 많습니다. 단지 가격이 좀 고가라는 것이지만 그만한 정보를 얻는데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출판사는 다른세상입니다.

나이테님의 댓글

no_profile 나이테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스님, 이환석님 감사합니다.
은화님은 아주 소중한 정보를 주셨네요?
감사드립니다.
결국 지금 피어있는 민들레는 거의가 서양민들레라는 말씀이시네요.

차샘의 강의 내용과 환석님이 적어주신 내용, 은화님이 적어주신 내용까지...
잘 기억해 두었다가 내년에 확인해봐야겠어요.

이환석님의 댓글

no_profile 이환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또한 우리 민들레는 꽃받침이 꽃잎을 감싸고 있는 데비해 서양 것은 버릇없이
뒤로 젖혀지지요
그리고 생식방법을 더 쉽게 이야기 하면 우리 것은 근친 교배가 않된다는 거고
서양 것은 자가수정이 됩니다
이로 볼때 우리 것은 마치 순결하고 청순한  우리의 멋을 갖고 있는 것 같아
못난 사람 민들레 만도 못하다 라는 말을 하고 싶군요

초이스님의 댓글

no_profile 초이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다음은 차샘의 강의내용입니다.

민들레는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하는 식물이다.
어느조건이든지 두가지의 조건중 하나에 의해서 살아가는데 자생민들레와 서양민들레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1. 일생
    가.  자생은 씨앗부터 꽃이 피기까지 수년이 걸린다
    나.  서양민들레는 당해에 씨앗까지 만든다.

2. 꽃 피우는 시기
    가. 자생은 이른 봄에만 피고
    나. 서양민들레는 일년 내내 성장하며 꽃을 피운다.

3. 생식방법
    가.자기의 꽃가루가 암술에 묻어도 씨앗이 안 생겨 인근에 같은 종이
        없으면 씨앗을 만들수가 없다.
    나. 서양민들레는 자가수정해도 씨앗을 만들수 있다. 혼자 떨어져
        있어도 자가수정에 의해 얼마든지 번식할수 있다.






꽃향유이미경님의 댓글

no_profile 꽃향유이미경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러게요 얼님 잘하고 있구만요 토종식물이 사라질때마다 가슴이 조마조마해서 죽겠습니다.    미국자리공 보세요 전 그놈 볼때마다 무시무시 위협을 느낍니다.    어쩔거나 저일을~~~~~~
  이환석님 정말 좋은일 하시네요  흰민들레가 스스로 번식하지 못한다면 사람이 도와서라도 해야죠 저두 요즘엔 자꾸 마음이 그쪽으로 갑니다" 사라져가는 우리 토종식물 퍼트리기!!"
이환석님 성공하시면 꼭 연락주세요.    여기 야사모 오면 말이 통하는 사람 많아서 좋다니깐요

나이테님의 댓글

no_profile 나이테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은화님, 부탁 있어요.
무식한 부탁인데요, 들어주실 거죠?
토종 민들레와 서양 민들레는 어떻게 다른가요?
구분법 좀 알려주세요.

얼레지님의 댓글

얼레지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환경여건의 가장 큰 문제가 토양의 산성화와 대기오염입니다...
아무리 청정지역이라 하더라도 대기순환에 의한 오염물질의 확산으로 산성비에 의해 토양이 산성화되어가니 토종식물의 최적조건을 웃넘게 되지요...
귀화식물의 경우 이러한 최적조건 범위(Optimun Range)가 넓기 때문에(약 1.2배 이상) 토종식물에 비해 공해나 기타 열악한 환경 조건에서도 생존할 수가 있는 것이지요...
예를 든다면 미국자리공이라던가 울산도깨비바늘, 미국가막사리 등이 있겠지요...

근디 나가 우째 이런 말을 헐까잉~~~ ㅡ.ㅡㅋ

홍은화님의 댓글

홍은화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물론 서양민들레의 시도때도 없는 번식력에는 당할 재간이
없겠지만, 서양민들레도 그들이 살 여건이 되기 때문에 그렇게 살고 있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여러가지 환경여건들이 토종민들레가 버텨 나가기는 점점 더 힘들어지지 않나 합니다.

석양속의 쉰네~~님의 댓글

no_profile 석양속의 쉰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들이 화천 민통선 안에서 군대 생활하는데~~~
면회 갔더니 면회소 앞에 흰민들레가 엄청 많았는데....
아무튼 잘 키우세요.
씨앗 받아 어린 묘 부터 키우는것도 남다른 재미가 있더군요.
좋은 소식 기둘립니다.

 Total 4,670건 189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제목
no_profile 조태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
토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76
no_profile 정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41
no_profile 설앵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2
금빛여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924
no_profile 다우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8
no_profile 김광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3
no_profile 이환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55
no_profile 산자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0
no_profile 나이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43
유하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247
거북이날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13
no_profile 문기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40
들국화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708
no_profile 꿈속에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
no_profile 도대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2
no_profile 뜬구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0
no_profile 이환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33
no_profile 다래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17
no_profile 서락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