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가 ◆ 작품사진을 웹하드에 올리실때 참고하십시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파일을 올리실때 주의점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디지탈 카메라에는 촬영시 이미지를 얼마나 크게, 고화질로 촬영할수 있는 이미지 옵션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여기서 젤 작게 촬영한 보통 500k로 인터넷용이라고 하는 사이즈는 최소한의 작은크기로 프린트를 할수있는 최소한의 이미지크기입니다. 이 이미지는 말 그데로 인터넷용이외로는 사용할 수 없는 이미지이지만
보통 일반인들이 필름 카메라로 촬영후 현상할때 인쇄하는 크기로 디지탈 이미지로 비교하자면500K입니다.
여기서
작품사진등 최소 11*14이상으로 현상을 할때는 500K로는 품질을 보장못합니다.
이미지를 현상시 최소한의 크기는 1600사이즈, 1.2M 이상이어야 그나마 최소한의 품질이 나옵니다.
프린트기의 성능이 좋아서 500K도 크게 인쇄는 가능하지만.. 화질이 아주 떨어집니다. (작품성과는 관계없슴)
또 1600사이즈도 그렇게 좋은 이미지라고 볼수는 없습니다.
아래 산림조합에서 올려달라는 사이즈가 4000이상이라고 요구한것이 다 이유가 있습니다.
즉 디테일, 계조등 기본적인 이미지 질이 필름카메라의 수준에 버금가기위해서는 대용량의
사이즈가 필요합니다.
현재 필카수준에 버금가는 정도의 디카로는 코닥14N, 그리고 디지탈백뿐입니다. 그외 1DS (1100만화소)정도가 겨우 낄 정도인데 어느정도의 고성능이어야 한다는것을 알수 있죠.
우리는 그러한 카메라가 없지만 인쇄물이 아닌 작품용으로 출품할 이미지는 그렇게까지는 요구하지 않아도 되고, 현상도 가능하지만 그래도 최소한 1600사이즈, 1.2M이상 정도는 되어야 어느정도 화질을 보장합니다.
작품이미지를 올려주실때는 최대용량, 최대크기의 수정이 안 된 원본을 올려주셔야 합니다.
그러나 작게 촬영된 이미지뿐이라면 그것이라도 잘 현상해야 하겠죠.
이 폴더에 작품을 올리는 분께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올리시기 바랍니다.
(1) 자신의 이름이나 아이디로 폴더를 만든다.
(2) 그 폴더 속에서 <작품사진>, <개인반명함>, <프로필>,
<야생화 설명> 등으로 하위폴더를 더 나누어서 만든다.
(3) 각각의 하위폴더 속에 해당되는 자료를 올린다.
(4) 작품파일명이 P904356.JPG 일경우에 그 설명파일은
P904356.TXT 또는 P904356.HWP 등으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댓글목록
차동주님의 댓글

..^^ 어렵게 생각하셨군요. 출신지(예: 서울 삼청동)와 년식(1970년생)만 있으면 됩니다.
문종호님의 댓글

<프로필>,이라면 오리지널 아마추어가 무슨 프로필 쓸 것이 있습니까?
야사모 경력 11개월 이럴땐?....